티스토리 뷰

최근에 유튜브 쇼츠나 릴스 또는 틱톡에서 많이 접해보는 외국 힙합곡이 있습니다.
아마 sns 많이 하시는 분들은 들어보셨을 법한 노래인데요
그 곡은 Doechii - DENIAL IS A RIVER입니다.
 

">

 
저는 이 곡이 바이럴 되는 것을 보면서 꽤 놀랐던 부분이 있는데요
이 곡은 코러스없이 벌스만 연속되는, 그리고 비트는 꽤나 제대로된 붐뱁이라는 것이죠.
어떤 의미에서는 대중성과는 거리가 멀어보이는 조합이 숏폼에서 이렇게 유행하고 노래가 유명해진다는 것이 제게는 조금 신기한 일이었습니다.
물론 Doechii는 이미 유명했지만, 한국에서도 이렇게 바이럴이 될 줄은 몰랐거든요.
 
근데 어떤 분들은 자신들이 즐기는 음악이 이런식으로 숏폼 유행으로 번지는 것을 그닥 즐기시지 않는다는 것을 얼마전에 알게 되었습니다.
그냥 단순히 유행처럼 다들 가벼운 마음으로 틱톡을 찍어대는게 맘에 들지 않아서 일까요?
아니면 이런 바이럴이 너무 가볍게 소비되면 부정적인 이미지를 주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일까요?
이유가 어찌됐건 숏폼 바이럴을 그닥 좋아하시지 않는 분들이 계시단건 분명한듯 합니다.
 
물론 숏폼으로 마케팅 또는 바이럴을 하는 경우 중 사람들에게 안좋게 비춰지는 경우도 있죠.
생각나는 최근 사례는 '그룹 순순희의 마케팅이 과한것 아니냐. 보기싫다.'라는 반응이네요.
여담으로 이러한 마케팅을 할때는 바이럴되는 음악이 대중에게 설득력이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대중들이 쉽게 즐길 수 있고 본인들이 스스로 재생산에 참여하여 효과 좋은 마케팅이 되는 것이죠.
 
위의 사례는 제쳐두고 다시 Doechii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
저는 Doechii의 음악이 밈처럼 유행을 타는 것에 부정적이냐 하면 전혀 아닙니다.
저는 오히려 이런 사례가 점점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입장입니다.
 
제가 처음 힙합을 들었을때는 쇼미더머니1 조차 나오기 이전입니다.
그때는 힙합이 지금에 비해서도 아주 마이너했습니다.
당시 저는 힙합이라는 장르가 완전 유행을 타고 많은 친구들과 음악이야기를 재밌게 하는 시대가 왔으면 했습니다.
제가 학생일 당시 소울컴퍼니 이야기를 친구들과 하고 싶어도 친구 중 단 한명만 소울컴퍼니가 뭔지 알고 있었죠.
지금은 쇼미더머니 시대를 거쳐 힙합은 어느새 대중문화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특히 어린분들도 점점 국내힙합을 넘어서 외국힙합에 까지 관심을 가지게 되었구요.
 

">

 
화나 - 그날이 오면 (힙합이 유명해지길 바랬던 화나의 곡)
 
물론 힙합이 갑자기 대중화되면서 부작용이 없었냐하면 그건 아니죠.
지금 현재의 모습은 제가 상상하던 것과는 분명 조금 다르긴 합니다.
하지만 대중과 힙합의 거리는 예전보다 훨씬 가까워진 것이 분명합니다.
이런 숏폼으로 바이럴된 붐뱁곡일지라도 예전보다 대중들은 쉽게 받아들이고 그것을 즐기죠.
대중들은 숏폼으로 자신에 맘에 드는 곡을 발견하고 아티스트를 발견합니다.
예전에는 Lp판을 디깅하는 시대였다면 오늘날은 알고리즘으로 음악을 디깅하는 것으로 시대가 바뀐 것 뿐이죠.
 
가벼운 숏폼 문화로 음악을 소비한다고 하더라도 계속해서 여러 음악을 접하다 보면 어쩌다 한명씩은 코어한 힙합팬이 생기지 않을까요?
 
 
 
 
 
 
 
 
 

Comments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